document.onkeypress = getKey;
반응형

 제레미 리프킨이라는 경제학자에 대해서 한번씩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엔트로피'라는 책과 '3차 산업혁명'이라는 책으로 유명한 경제학자인데, 에너지 낭비와 경제를 엮어서 현대 문명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매번 밝혀오는 깨어있는 환경운동가이기도 하다. 원래는 '접속의 시대'라는 책 제목이 맞겠지만, 민음사(번역가 이희재)에서 제목 번역을 자의적으로 '소유의 종말'이라고 붙였다. 소유와 접속의 개념이 반대라고 여기고 이런 번역을 한 것 같은데, 조금 뒤에 나오겠지만 내 사견으로는 조금은 불안정한 번역이 아닐까 싶다.



우선 이 책의 주요 개념 5개를 추려보자면 대충 이렇게 정리가 될 것 같다.


1. ‘사이버 스페이스의 등장과 자본주의 사회의 변화 조짐

2. ‘시장 경제 체제에서 접속 경제 체제(네트워크 경제 체제)’로의 변화

3. 자본주의와 상업주의의 결합으로 인한 고유문화의 파괴

4. ‘접속할 수 있는 자접속할 수 없는 자사이의 간극

5. ‘The New Gate Keeper’의 등장과 문화적 중재자의 성장



 사실 경제학 책이라는 것이 약간은 딱딱할 수 있지만 나는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념을 현재에도 통용되고 있는가에 대해 비교해가며, 이가 어떻게 바뀔지를 생각해보며 읽으니 괜찮았던 것 같다. 나는 사물 인터넷이 발달하고, 실생활에 조금 더 첨단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제레미 리프킨이 제시한 접속이라는 개념 중에 시간을 산다는 부분은 조금 퇴화하고, 연결의 기능이 강화될 것 같다는 조심스러운 추측을 해보게 되었다. 연결이라는 선행적 개념이 우선되어야 시간을 소모하든 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이 조금 더 중요시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리고 이런 판단을 하는 과정에서 사회과학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을 어떠한 개념을 정의하여 설명하는 사회과학은 상당한 근거를 가지고 사람들을 설득시키는 것이 토대가 되어야하는데, 순수과학이라면 실험 등을 통해 근거를 얻어낸다면, 사회 과학은 한 이론을 정의하기 위해 정말로 많은 관점에서 한 이론을 검증해 나간다는 것이 흥미로웠고,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제레미 리프킨의 소유의 종말2001년에 지어진 책인데도 아직까지의 사회 현상을 대체로 잘 설명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었다


사이버 스페이스의 등장으로 인하여 너무나도 빠른 변화가 발생되고 있고, 물건을 소유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시대는 저물고, ‘접속을 통한 일시적 사용의 시대가 이미 시작되었다. 이 책이 쓰여진 2001년, 즉 17년 전은 잘 기억나지 않지만, 정말로 이제는 공유경제 시대로 다다랐다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우리의 삶에 '렌트'는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가깝게는 쉐어하우스, 전세 등등의 개념으로 설명이 되겠고, 조금 멀리는 기업의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기업들의 경우, 최근 1~20년간 꾸준히 트렌드처럼 물질적인 것을 팔기보다는 물질을 임대할 수 있는 시간’, ‘물질적인 것을 정의할 수 있는 브랜드등을 팔고 있다. 또한 물질의 시장 점유율보다는 소비자들의 시간 점유율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추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적인 환경에 적응하여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사실상 '시간'의 개념으로 물건 및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이 '접속'의 가장 터프한 접근 및 해석이 아닐까 싶다. 접속이라는 것은 장점도 뚜렷하고, 단점도 뚜렷한 사회현상이다. 한 편에서 보면 변화에 발맞춰 빨리 나아갈 수 있지만, 또 다른 한 편에서 보면 접속자와 비접속자 사이의 간극이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간격보다 더 빠르게 커진다는 점과, 접속을 통해 빠르게 변화해가면 고유의 문화 축적이 쉽지 않다는 점이 단점이다. 최근에는 이런 부분이 두각되면서 소유와 공유경제가 혼합되는 모양도 보여지고 있다. 그렇기에 원제인 ‘The Age of Access’가 조금 더 작가가 표현하고자 한 접속의 시대의 변화된 모습이나문제점들을 지적해주는데 있어 잘 표현해주지 않는가라는 생각이 든다. 소유와 접속을 굳이 척점에 두어야만 했는가가 가장 아쉬운 부분이다. 그 당시 시대에는 소유와 공유경제는 조금 다르게 느껴질 수 있었을테니 이해는 되지만, 지금은 소유경제와 공유경제가 함께 혼용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차라리 '접속의 시대'라는 제목이 조금 더 현재를 잘 설명한다고 평하고 싶다. 

반응형
반응형

2018년 한국의 2월은 매우 뜨거웠습니다. 2월 9일~2월 25일까지 진행된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보며 기도하고, 환호했습니다. 하지만 이 열기는 3월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올림픽에 이어 3월 9일부터 3월 18일까지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이 개최되었기 때문입니다. 패럴림픽도 올림픽과 같은 형식으로 개최되지만 올림픽에 비해 인기가 떨어진다는 것은 아쉽지만, 시간과 돈으로 인해 올림픽을 TV로만 본 저로서는 올림픽 직관의 분위기를 대신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1365 자원봉사 사이트를 찾아보다가 발견한 2018 평창패럴림픽 관람봉사! 모집자보다 신청자가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당당히 선발되어 서문복지재단에서 출발했습니다. 대구장애인체육회와 함께 복지재단에서 근무하는 지적장애인들을 관리하는 것이 제 일었습니다.

평창으로 가는 버스에서 받은 평창동계패럴림픽 계획표. 크로스컨트리 결승전 6경기를 관람할 예정이고요, 올림픽프라자 관람, 대관령하늘목장 양떼체험 등 다양한 체험을 할 계획입니다.

어연 4시간 정도를 달려 평창에 도착하니 평창에 온 것을 환영한다는 현수막이 크게 걸려있네요.

국제적인 행사인 만큼 경기를 관람하기 전 입장권을 검사하고 몸수색을 거칩니다. 경기가 열리는 알펜시아 스키리조트 안에 들어가니 연습하는 크로스컨트리 선수도 몇 분 보입니다.

미국, 핀란드, 일본 등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도 보입니다(특히 이번에 관람한 결승전 6경기에는 미국 국적의 선수가 가장 많았습니다).

크로스컨트리 남자 좌식 1.1km 스프린트 결승전에 출전한 신의현 선수입니다. 크로스컨트리 7.5km에서 국가대표 첫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이번 경기에서는 6위로 아쉽게 메달획득을 실패했습니다.

온 힘을 다해 결승전에 들어오는 선수들의 모습도 몇 컷 담앗습니다.

남은 경기를 기다리고 있는 선수들입니다. 패럴림픽의 크로스컨트리가 올림픽 크로스컨트리와 가장 다른 점은 같은 부분에서 경쟁하는 선수도 장애 정도에 따라 시간 패널티를 준다는 것입니다.

크로스컨트리 6종목을 모두 보고 난 후 올림픽 프라자로 향했습니다. 올림픽과 패럴림픽의 개막식, 폐막식이 열린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이 보입니다.

남는 시간동안 스토어 및 전시관도 둘러봅니다. 스토어에서는 오랜 시간동안 있고 싶었지만, 지적장애인들 인솔과 비자 이외 카드 사용 제한으로 급하게 살 수 밖에 없었습니다ㅠㅠ

다음날인 3월 15일은 아쉽게도 비때문에 대관령 대신 단양 아쿠아리움에서 물고기 관람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 경험도 몇 년만에 아쿠아리움에 온 저를 포함하여 인솔한 장애인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경험이 된 것 같았습니다.

스토어에서 산 25000원 반다비 인형입니다.


서문복지재단에서 근무하는 근로장애인 견학에서 자원봉사자 신분으로 왔기 때문에, 관람 외에도 장애인들의 위치 확인, 씻기기 등 여러 일을 하면서 관람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꽤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2023년 고양에서 하계 스페셜 올림픽이 열릴 때에도 참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